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UD 헤드업 디스플레이 정보와 특징 알아보기 (정의, 장단점, 종류)

반응형

HUD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초기에는 전투기에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 산업에서도 이를 활용하기 시작합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자동차 브랜드 GM에서 1988년부터 공개했으며 국내에서는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차량에 탑재되기 시작했죠. HUD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무엇이고 장단점, 종류는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정의>
헤드업 디스플레는 차의 프런트글라스에 차속이나 진행 방향 등의 표시를 보여주는 장치입니다. 하프 미러를 프런트 윈도 내측 일부에 설치하고, 거기에 형광표시 미터 등의 실상을 비춰서 허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인데요. 헤드업 디스플레이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종류>
HUD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정보를 띄우는 방식에 따라 종류가 차이가 있는데요. 일단 컴바이너형이 있습니다. 컴바이너형은 운전자의 전면에 위치한 별도의 투명 표시창에 주행 정보를 띄우는 방법인데요. 자동차 내의 공간이 어느 정도 있으면 설치 자체가 어렵지 않죠. 또 다른 것으로는 윈드실드형이 있는데요.

윈드쉴드형이란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직접 정보를 반사시키는 것입니다. 설계 자체가 상대적으로 쉽지 않을 수 있으나 운전자에게 거리 주행 정보를 눈에 띄게 보여주고 있죠.
마지막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란 장점>
운전을 하다 보면 현재 도로의 상황을 파악하고 주행 속도 등 파악해야 할 것이 많죠. 운행 중에 다양한 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는 주행 정보를 운전자의 전면에 표시해주기 때문에 전방을 주시하면서도 주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운행을 하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도록 기여합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점>
헤드업 디스플레이 단점으로는 도로 주행 환경 등 변수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름을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죠. 이로 인해 운전자의 눈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는 정해진 위치에 정보가 보이고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해야 하기 위해서 큰 디스플레이가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